본문 바로가기

잡동사니

영화 <백두산> 후기 및 결말 이야~~

>


​ ​ ​, 백두산(2019.12.19)​ 이헤쥬은/킴뵤은소(감독)이병헌/하정우/마동석/쵸은히엔/배수 이케 ​ 드라마/액션/12세 관람가/128분 한국 ​ ​ ​


>


>


​​​


​ 공개 4일째 245만명을 모아 2019년 연말의 책임을 지고 있는 영화<백두산>후기를 남기고 볼까 합니다. 대한민국 관측 사상 최대 규모의 백두산 폭발이 발생하게 됩니다. 갑작스러운 재난으로 한반도는 순식간에 아비규환으로 변하고 남북 모두를 집어삼킬 추가폭발이 예측되는 가운데, 전유경(정혜진)은 백두산폭발을 연구해온 지질학 교수 강봉래(마동석)를 찾게 됩니다. 그의 이론에 기초한 작전을 계획하고 전역을 앞둔 특전사 EOD 대위 '조인창'(하 정우)이 남북 운명이 걸린 비밀작전에 투입됩니다. 작전의 열쇠를 쥔 북한무력부 소속 일급 역사 이병헌과 접촉에 성공했다. '조인찬'은 마음을 알 수 없는 '이준평'의 행동에 당황하고 있습니다. 한편, 남편 刃날창が이 북한에서 벌어지는 작전에 투입된 사실도 모른 채 서울에 홀로 남겨진 志최지영水(배수지)은 재해에 맞서 살아남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그 사이 백두산 마지막 폭발까지의 시간은 눈앞에 다가오게 됩니다. 우선 올해 2019년 연말을 마무리 한국 영화 세편이 있었습니다. <백두산>을 비롯해 <시동>, 그리고 <천문: 하늘에 묻기>까지요. 그 중 저는 개인적으로 <천문: 하늘에 묻기>를 가장 걱정했고, <백두산>에 가장 기대했던 것 같습니다. 세 작품 모두 본 저로서는 엉망진창도 이런 엉망진창이 사라질 정도는 아니었냐는 말을 먼저 드리고 본격적으로 후기를 남겨보도록 하겠습니다.​​​


>


>


​​​


쌍천만이라는 신화를 창조한 <신과 함께> 시리즈를 연출했다. '김용화' 감독의 이름이 제작되었습니다. <신과 함께> 시리즈를 보신 분은 아실 겁니다. 거기에, 저처럼 <신과 함께>를 비평의 눈으로 보신 분들이라면, 더 알아보실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에 개봉한 영화 <백두산>은 한국 CG계에서도 자부심을 가지고 있기로 유명한 '덱스터 스튜디오'가 맡았는데요. 이것은 <신과 함께>의 CG의 책임도 다했네요. 그렇다면 이 말은 과연 어떤 말이 될까? 처음부터 결말까지 CG 투성이에요. 하지만, 그것도 모자라 CG라는 바람은, 저도 굉장히 하는 거고. 재난 영화가 아니라, 또 판타지로 얼룩진 김영화 표의 영화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김연화 감독 냄새가 날 정도입니다. <7번 방의 선물과 함께 신파의 말 왕이라고도 불리는<해운대>지상판으로 보면 그 느낌이 더욱 깊게 전달할 만한 것이 바로 이번 영화<백두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전체적인 느낌과 냄새는 <신과 함께>를 마치 현실을 가장한 리메이크작일 정도라고 저는 느꼈습니다. 그래서 <백두산>을 보고 있으면 이것이 재난 영화인지, 판타지 영화인지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정체성이 전혀 없습니다. 보면 시종"나 CG이다"라고 노골적으로 광고하는<백두산>의 처참한 CG는 이제 개봉한지 15년 된<투모로우>의 CG보다 못 합니다. 이 영화를 보고2004년 작 영화<투모로우>을 보면<투모로우>이 대단함을 다시 한번 뼈저리게 알 수 있다는 것입니다.​​​


>


>


​​​


영화 <백두산>은 바로 최고의 라인업을 잡은 양날의 칼이었습니다. 배우 이병헌과 하정우의 출연만 해도 이 영화는 2019한국 영화 가운데 기대작 열 손가락에 뽑힐 정도였습니다. 그러나 뚜껑을 열어보니 더이상의 처참하고 처절한 몸부림은 없었습니다. 배우 하정우가 걱정됐던 것은 작년 이맘때 개봉되었다. 속 캐릭터와 겹치지 않을까 생각했어요. 1년 만에 스크린 복귀을 알린 영화였음에도 배우 하정우는에서 보이고 준 글로벌 군사 기업의 캡틴'에이 헴'과 별 차이가 없었습니다. 결국 하정우라는 배우가 보여준 인물은 거의 모방 수준이었다는 것입니다. 여배우 이병헌도 <백두산>의 붕괴를 막지 못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랍니다. 쓸데없는 애드리브가 결국 영화의 재미를 더 망쳤다고 볼 수 있었고, 두 배우가 웃기려는 모든 장면은 바로 총체적 난국이었습니다. 안그래도 극에 대한 몰입감이 떨어지고 있는데 자꾸 쓸데없는 애드리브를 계속하니까 결국 아무것도 없었다고 볼 수 있다고 생각해요. 배우 정혜진의 인물도 마찬가지입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답답함의 극치를 보였고, 배우 마동석은 오히려 존재감이 커 보이지 않아서 빌려둔 보리 자루 같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백두산>에서 가장 걱정됐던 배우 배수지 연기는 어땠을까요? 잘 된 일인지 모르겠습니다. 다행히 영화에서의 비중이 크지 않아서인지 그녀의 연기력에 대해 생각할 때쯤엔 다음 장면으로 넘어갔죠. 오히려 이 점에 대해서는 논할 수 없고 어쩌면 좋은 방향으로 작용한 것이 아닌가 생각되기도 합니다. ​​​


>


​​​


한국영화에 신파는 도대체 언제쯤 사라질까요? <백두산>의 결말은 설마 했을 정도로 눈물샘을 건드리게 됩니다. 하지만 무리한 설정이었다고 생각한 저는, 그렇지 않아도 지금까지의 러닝타임을 울며 겨자 먹었지만, 마지막 결말로 보여준 그 설정 덕분에, <백두산>을 과감히 올해의 망작 중 하나로 정했습니다. 그러한 설정은 남북의 연결고리를 의미하지만 그것이 중요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앞서 말씀드렸듯이, <신과 함께>와 <해운대> 지상판을 보는 듯한 냄새와 영상미가 진동을 한 것도 모자라 이야기의 흐름, 즉 연출, 그리고 결말까지 총체적 난국입니다. 여기에 최고의 라인업이 와도 소용없는데 쓸데없이 날아다니는 애드리브, 그것도 모자라 어린이 연극을 보는 듯한 유치하기 짝이 없는 억지 개그까지 말입니다. 영화를 다 보고나니 이런 생각도 듭니다. 제목은 <백두산>인데, 백두산을 연상시키는 비중은 과연 얼마나 되었는가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영화 <백두산>에서 마음에 들기는 하나 있습니다. "북한에서 데려온 아이(김시아)의 아버지가 되어 아이의 가족이 되어준 장면입니다. 그 아이는 북한을 의미하는 동시에, 통일이라는 해석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이며, 이 점에 대해서는 나쁘지 않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조인찬'(하정우)이 그렇게 궁금해 했던 아기의 성별. 아기의 성별은 나오지 않은 채 종료되는데, 이 점도 마음에 든다고 할 수 있겠지요. 아기의 성별이 거기서 뭐가 중요한가요? 탄생과 동시에 희망이 생긴 것이지만 거기서 아주 만약 아들이며 딸도 아기의 성별이 등장했다면 21세기에 들어가서 손에 꼽을 정도의 망쟈크가 됐을테니 말입니다. ​​


총체적 난국



영화 <백두산> 예고편